본문 바로가기

마비노기 모바일 대검전사 스킬 파헤치기 총정리

겐이츠의게임쿠폰 2025. 3. 30.

마비노기 모바일 대검전사 스킬 파헤치기 총정리

전장의 판도를 뒤엎는 묵직한 손맛, 그 매력에 빠져보세요!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마비노기 영웅 여러분! 오늘은 전장의 판도를 뒤엎는 묵직한 손맛, 대검전사의 스킬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거대한 대검을 휘두르며 적들을 분쇄하는 대검전사의 매력적인 스킬들과 핵심 시스템, 그리고 실전 운용 팁까지! 이 글 하나로 대검전사의 모든 것을 파악하실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대검전사 (Greatsword Warrior) 클래스 소개

대검을 휘둘러 다수의 적을 단번에 휩쓸어버리는 클래스.
지치지 않는 공격으로 적들을 거칠게 몰아붙인 후, 전력을 다해 분쇄합니다. 두꺼운 갑옷을 선호하며, 폭발할 듯한 힘을 대검에 쏟아부어 강력한 일격을 날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근접 #강타 #연계 #강화

 

핵심 시스템: 자세 변환과 전투 템포

대검전사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두 가지 핵심 시스템, 자세 변환전투 템포를 알아야 합니다.

1. 자세 변환 (Stance Switching)

대검전사는 스킬 사용에 따라 검을 뒤로 쥐는 자세검을 앞으로 쥐는 자세를 오갑니다. 특정 스킬들은 어떤 자세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더 빠르게 시전되어 전투의 흐름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 검을 뒤로 쥘 때: 특정 스킬(회전 베기, 가르기 등)의 시전 속도 증가.
  • 검을 앞으로 쥘 때: 특정 스킬(라이징 스매시 등)의 시전 속도 증가, 어깨 치기가 '발구르기'로 변경.

2. 전투 템포 (Combat Tempo)

마치 리듬 게임처럼, 전투를 지속하며 쌓이는 특별한 자원입니다. 일부 스킬은 특정 자세에서 사용할 때 전투 템포를 높여주며, 이 템포를 소모하여 더욱 강력한 스킬(대검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궁극기인 필사의 일격은 전투 템포를 즉시 최대로 채워줍니다.

  • 획득: 특정 스킬을 유리한 자세에서 사용 시, 필사의 일격 사용 시.
  • 소모: 대검술 스킬 사용 시.

공격 스킬 (Active Skills)

회전 베기 (Spinning Slash)

#연타 #이동

주위에 몰려든 적들을 제압하는 연속 회전 베기 공격. 검날이 닿는 반경 안의 모든 적을 베어냅니다.

  • 특징: 스킬 사용 중 이동 가능.
  • 자세 효과 (검을 뒤로 쥘 때): 더 빠르게 공격 가능하며 전투 템포 상승.

라이징 스매시 (Rising Smash)

#강타 #방해

다수의 적을 한꺼번에 공중으로 띄우는 묵직한 올려베기 공격. 적들을 넘어뜨립니다.

  • 자세 효과 (검을 앞으로 쥘 때): 더 빠르게 공격 가능하며 전투 템포 상승.

어깨 치기 (Shoulder Charge)

#강타 #이동

맹렬한 기세로 돌진해 적을 밀쳐내는 육탄 공격. 순식간에 타겟과의 거리를 좁히며 피해를 줍니다.

  • 자세 효과 (검을 앞으로 쥘 때): 스킬이 발구르기 공격으로 변경됩니다. (돌진 대신 제자리 공격 형태가 될 수 있음 - 확인 필요)

가르기 (Cleave)

#강타 #보조

육중한 대검으로 적들을 압도하는 강력한 수직 내려베기 공격.

  • 자세 효과 (검을 뒤로 쥘 때): 더 빠르게 공격 가능하며 전투 템포 상승.

대검술 (Greatsword Technique)

#강타 #보조

대검에 온 힘을 실어 날리는 필살의 일격. 모아둔 전투 템포를 전부 소모하여 강력한 피해를 줍니다.

  • 특징: 차징(Charging) 가능하며, 차징 단계에 비례하여 피해량이 증가합니다.

필사의 일격 (Desperate Strike) - 궁극기

#강타 #보조

대검의 잠재력을 극한까지 끌어올린 경지. 높이 도약 후 폭발적인 힘을 실어 지면을 강타, 주변 적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줍니다.

  • 부가 효과:
    • 자신의 전투 템포를 즉시 최대치로 상승시킵니다.
    • 강화 효과: 맹공 버프를 얻습니다.
    • 공격력이 증가합니다.
"대지의 방랑자: 대검 한 자루에 몸을 싣고"

패시브 스킬 (Passive Skills)

맹공 (Onslaught)

지칠 새 없이 세차게 공격을 퍼붓는 날선 의지. 공격 적중 시 확률적으로 발동합니다.

효과 (강화 효과: 맹공):

  • 발동 확률: 20%
  • 다음 2회의 스킬 시전 속도(캐스팅 및 발동) 50% 증가. (필사의 일격 사용 시 확정 획득)

전투 숙련: 패기 (Combat Mastery: Vigor)

(Lv. 15 이상)
근거리 전투에 숙련된 전투 기법.

효과:

  • 기본 공격으로 받는 피해 10% 감소.
  • 적에게 주는 강타(Smash) 피해 5% 증가.

불굴 (Indomitable)

어떠한 공격이라도 버텨내는 굳센 의지. 스킬 준비(차징 등) 중에 효과가 발동됩니다.

효과:

  • 방어력 150% 증가.
  • 적의 공격에 브레이크(Break) 당하지 않음 (슈퍼 아머).

보복 (Retaliation)

(Lv. 30 이상)
몰아치는 고통 속에서 피어나는 강렬한 투지. 체력 소모 시 발동합니다.

  • 발동 조건: 최대 체력의 10%를 소모할 때마다.
  • 효과: 잠시 동안 공격력 5% 증가 (중첩 가능).

난투 (Brawl)

(Lv. 45 이상)
잠시 동안 고통에서 벗어나 생존력을 높이는 굳건한 의지. 공격 적중 시 발동합니다.

  • 효과: 공격 적중 시, 현재 쌓인 보복 중첩 수에 비례하여 체력 회복 (중첩당 88 회복).

실전! 대검전사 스킬 운용 팁

대검전사는 강력한 범위 공격과 묵직한 한 방을 자랑하지만, '자세'와 '전투 템포', 그리고 '보복/난투'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잠재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습니다.

⚔️ 자세 & 템포 관리

  • 스킬 설명을 참고하여, 유리한 자세에서 스킬을 사용해 시전 속도를 높이고 전투 템포를 적극적으로 쌓으세요. (예: 회전 베기, 가르기는 뒤 자세 / 라이징 스매시는 앞 자세)
  • 쌓인 전투 템포는 대검술의 강력한 한 방을 위해 아껴두거나, 필요할 때 과감히 사용하여 큰 피해를 주세요.
  • 필사의 일격은 위기 상황 탈출 또는 극딜 타이밍에 사용하여 최대 템포맹공 버프를 확보하고 후속 스킬 연계를 부드럽게 이어가세요.

🛡️ 생존 전략

  • 대검술처럼 차징이 필요한 스킬이나 강력한 공격을 시전할 때는 불굴 패시브(슈퍼아머, 방어력 증가)를 믿고 과감하게 사용하세요.
  • 보복 스택이 쌓이면 공격력이 증가하지만 체력이 소모된 상태이므로 위험합니다. 난투 패시브를 활용해 공격을 적중시켜 체력을 회복하거나, 물약 등으로 체력 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 어깨 치기는 돌진기로 활용하여 위험한 패턴을 회피하거나 거리를 조절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앞 자세의 발구르기는 다른 용도)

💥 추천 콤보 흐름 (예시)

  1. (템포 쌓기): 자세에 맞춰 회전 베기 / 라이징 스매시 / 가르기 등을 사용하여 전투 템포를 쌓습니다.
  2. (극딜 준비): 필사의 일격을 사용하여 최대 템포와 맹공 버프를 얻습니다.
  3. (맹공 활용): 맹공 버프로 빨라진 시전 속도를 활용하여 대검술 (최대 차징) 또는 다른 주력 스킬을 빠르게 사용합니다.
  4. (상황 대처): 위험 시 어깨 치기로 회피하거나, 불굴을 믿고 스킬 시전을 강행, 난투로 체력을 회복합니다.

결론

마비노기의 대검전사는 자세 변환전투 템포라는 독특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묵직하고 강력한 범위 공격과 한 방을 선사하는 매력적인 클래스입니다. 불굴을 통한 안정적인 스킬 시전과 보복/난투를 활용한 공격력 증폭 및 생존력 확보는 대검전사 운용의 깊이를 더해줍니다.

각 스킬의 특징과 핵심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끊임없이 연습한다면, 여러분도 전장을 호쾌하게 휩쓰는 진정한 대검전사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대지의 방랑자: 대검 한 자루에 몸을 싣고"

여러분은 대검전사를 플레이하며 어떤 스킬 콤보나 운영 방식을 선호하시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노하우를 공유해주세요!

 

2025.03.26 - [게임] - 선택 장애를 위한 재미삼아 보는 마비노기 직업 추천 테스트

 

선택 장애를 위한 재미삼아 보는 마비노기 직업 추천 테스트

그냥 재미로만 보세요! 선택은 나 자신의 몫

genitgame.tistory.com

 

리뷰 작성일: 2025년 3월 30일

댓글